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2023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2023년 중위소득 인상에 관련하여 ①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정부 복지 지원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 ② 2023년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1인) 207만 7,892원 (2인) 345만 6,155원 (3인) 443만 4,816원 (4인) 540만 964원 (5인) 633만 688원 (6인) 722만 7,981원 기준 중위소득이란 정부 복지 지원사업의 수급자 선정기준 등으로 활용되는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으로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이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합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윤석열 정부의 '저소득층에 촘촘하고 두텁게 지원한다'는 정책 기조에 따라 2022년 기준 중위소득보다 5.47%(4인 가구 기준) 증가한 금액으로 결정됐습니다.. 2022. 8. 19.
22년 육아 복지정책(첫만남이용권, 영아수당, 육아휴직, 근로장려금등) 2020년부터 현재까지 코로나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민들의 삶에 도움 되는 복지정책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22년에는 어떻게 복지정책이 바뀌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첫만남이용권, 영아수당, 3+3 육아휴직제도 ①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 아이가 태어나면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상당 바우처 지급! - 1년 동안 [대부분 업종]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② 영아수당 30만원 - 기존 가정 양육수당 대신 영아수당 30만원 지급 - 생후 3개월 이후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나 어린이집 이용을 위한 보육료 바우처를 선택할 수 있음 * 이 경우에는, 영아수당 금액인 30만원을 넘어도 전액 지원 됩니다! ③ 3+3 부모 육아 휴직 제도 - 부모가 각각 3개월동안 육아휴직을 쓰면 급여를 대폭 늘려주는.. 2022. 8. 18.
2022년 "전국민"으로 확대된 [맞춤형 급여 안내] 신청 방법 2022년 9월 5일부터 모든 국민들이 [맞춤형 급여 안내] 대상이 됩니다! 2021년 9월에는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기초연금대상자, 한부모가정, 장애인연금 대상자만 복지멤버쉽 대상자 였습니다. 1. 맞춤형 급여 안내란? - 쉽게설명하여 내가 놓치더라도 나에게 필요한 급여와 내가 받을수 있는 복지를 알려주는 시스템 2. 맞춤형 급여 안내의 다양한 복지 혜택 ① 청년들을 위한 복지 - 학자금대출부터 취업지원, 자산형성통장 등 확인가능 ② 신혼부부 복비 - 행복주택, 특별공급 주택, 대출혜택 등 ③ 복지로를 통하여 가입하게 된다면 본인이 혜택받을수 있는 것을 알려주는 시스템입니다. 3. 2022[맞춤형 급여 안내] 신청 방법 - 2022년 9월 5일(예정) (1) 주소지 행복 복지센터에 신분증을 지참하여.. 2022. 8. 18.
8월10일 교통법규 추가 13가지! 운전자 필독 2022년 8월 10일자로 고통법규가 새롭게 변경되었습니다. 크게 과태료 부과 내용 13가지가 추가되었고, 공익신고시 사실확인서로 대체되었던 내용들도 과태료 부과로 바뀌었으니 운전자분들이 필독하셔야 되겠습니다. 1. 기존에 공익신고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는 항목 13가지 ① 신호지시 위반 ② 보도통행 ③ 중앙선 침범 ④ 지정차로 위반 ⑤ 전용차로 위반 ⑥ 속도위반 ⑦ 끼어들기 ⑧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⑨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 ⑩ 긴급자동차 양보의무 위반 ⑪ 주정차 위반 ⑫ 적재물 추락방지조치 위반 ⑬ 고속도로 갓길통행 위 항목들은 경찰이 직접단속하는 위반행들이 아니었기에 항목에 따라 바로 과태료 통지서가 아닌 사실확인서 경고로만 끝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음. 하지만 이번에 법이 개정되면서 과태료 위반항목.. 2022. 8. 18.